본문 영역으로 건너뛰기

제주 4·3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입니다. 당시 한반도는 일제로부터의 독립 이후 냉전의 한 가운데에서 혼란한 시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1947년 3월 1일, 제주도에서 열린 3.1절 기념대회 중 경찰의 발포로 인해 6명의 사망자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3월 10일, 제주도 전역에서 이에 항의하는 총 파업이 일어났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사과와 대응 대신 정부는 탄압을 이어갔습니다.

해방을 맞아 태극기를 흔들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진 그림
해방, 강요배 作

3.1절 기념대회 발포사건 이후 이어진 가혹한 탄압으로 제주에서는 당시 정부와 미군정에 대한 불신이 커져갔습니다. 당시 이승만 정부와 미국 정부는 남한에 단독 정부를 수립하고 싶어 했던 반면 또 다른 많은 사람들은 통일된 한반도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제주도 사람들은 1948년 5월 10일 열릴 예정이었던 남한 단독 선거에 반대했습니다. 단독 선거를 한 달 앞둔 1948년 4월 3일, 이러한 정부의 탄압에 맞서 제주도 전역에서 단독 선거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났습니다. 불행하게도 당시 군정은 제주도민들을 더더욱 가혹하게 탄압했고 그 결과, 당시 제주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3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제주 4·3의 역사는 오래 전 끝난 이야기가 아니라 제주의 지금 이야기입니다. 4·3의 기억은 씨줄과 날줄처럼 제주사름에게 세대와 괸당(친족)을 관통해 이어지고 있는 현재의 이야기입니다. 더군다나 지연된 정의로서의 역사에는 여전히 많은 관심과 다양한 활동이 필요합니다.

제주 4·3에 대해서 더 알아보기

제주 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펴낸 "4·3이 머우꽈"를 다운받으시면 제주 4·3에 대해 더 많은 내용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파일크기 2.7 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