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으로 건너뛰기
지도 영역 건너뛰기

제주 4·3 유적지

4·3 유적지 목록

총 54건 (3/6페이지)

사리물궤
서귀포시 동부권

사리물궤

1948년 11월 7일, 이웃 의귀리, 한남리와 더불어 수망리도 대부분의 가옥이 불탔다. 예고없이 들이닥친 토벌대에 마을이 전소되자 주민들은 인근 야산에 움막을 짓거나 궤를 찾아 힘겨운 은신생활을 했다. 하천변에 있는 이곳 사리물궤는 마을에서 비교적 가깝고 주변에 크고 작은 궤가 산재해 있어 주민들이 숨어들기엔 안성맞춤이었다.수망주민들은 마을이 초토 ...

섯알오름
서귀포시 서부권

섯알오름

섯알오름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 모슬포를 중심으로 한 서부지역의 예비검속자들이 집단 학살된 장소이다. 7월 말부터 8월 하순에 이르기까지 제주읍과 서귀포 모슬포 등지에서 여러 차례 대대적인 집단 총살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는 인민군이 남하하여 8월 8일에 낙동강 전선에서 유엔군과 대치하며 격전중인 때였다. 따라서 인민군이 경남ㆍ부산 지역을 점령할지도 ...

서청 특별중대
서귀포시 동부권

성산동국민학교 서청특별중대 주둔지 옛터

성산국민학교에는 당시 100여 명 정도의 서청특별중대가 약 3개월 정도 주둔했었다. 이들은 성산동국민학교 건물에 주둔하면서 숙식을 해결했고, 붙잡아 온 주민들을 수감하고 취조하는 곳은 국민학교 바로 앞 담장 너머에 있었던 감자창고를 이용했다. 학교 담을 허물고 출입을 용이하게 하여 일제 때부터 있었던 주정공장에 딸린 창고를 사용했던 것이다. 지금도 ...

성산지서 옛터
서귀포시 동부권

성산지서 옛터

성산지서는 제주4·3이 발발한 1948년 4월 3일 새벽 인민유격대의 습격을 받은 12개 경찰서 중 하나이다. 당시 성산지서에는 총 14명의 경찰관이 소속되어 있었는데, 습격 당시에는 3명이 근무를 하고 있었다.인민유격대 40여 명이 99식 총 2정을 갖고 습격을 시도했으나 경찰이 응사하자 모두 퇴각해 피해는 입지 않았다.4·3이 발발하기 전인 19 ...

송령이골
서귀포시 동부권

송령이골

1949년 1월 12일 의귀국민학교 교전에서 사망한 무장대의 시신이 집단 매장된 곳이다. 이 날 군인 4명이 전사했지만 그보다 훨씬 많은 수의 무장대가 교전 중 사망했다. 이들의 시신은 학교 옆에 방치됐다가 나중에 이 곳 송령이골로 옮겨져 집단 매장됐다.1948년 12월 26일 의귀국민학교에 군인이 주둔하면서 마을 사람들의 희생은 크게 늘어났다. 이 ...

수악주둔소
서귀포시권

수악주둔소

이 곳 위치가 수악(물오름, 水岳)의 동남쪽에 만들어졌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곳은 신례천과 하례천 계곡 사이에 있는 동산에 위치해 있다. 수악은 제주시 조천읍과 남원읍 경계에 있는 원추형 측화산(고도 472m)이다.주둔소는 내성과 외성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이며, 외성이 일대를 둘러싸고 있다. 외성의 바깥쪽 높이는 3.5m, 내벽은 2m 정도이 ...

시오름 주둔소
서귀포시권

시오름 주둔소

서호리 시오름 경찰 주둔소는 1950년대 초반에 설치됐다. 이 시기 지역 주민들과 인민유격대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주요 산길마다 25개의 주둔소가 만들어졌다. 시오름주둔소 성은 서호리 주민뿐만 아니라 호근리·강정리·법환리 등지의 주민이 총동원되어 한 달 만에 쌓았다고 한다.삼각형 모양의 주둔소는 한 면의 길이 40여m, 전체 둘레 120m 정도이다 ...

연미마을회관
제주시권

연미마을회관

1948년 4·28 평화협상 사흘만인 5월 1일 벌어진 이른바 ‘오라리 방화사건’은 진화 국면에 있었던 제주4·3이 더 악화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이 사건은 제주읍 중심에서 약 2㎞ 가량 떨어진 오라리 연미마을에 우익 청년단원들이 대낮에 들이닥쳐 10여 채의 민가를 태우면서 시작됐습니다. 당일 오전 9시경, ...

영남동 옛터
서귀포시권

영남동 옛터

영남동의 영주산 남쪽에 위치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진다. 예로부터 한라산을 영주산이라고도 불렀는데, 영주산(瀛洲山)의 영(瀛)과 남쪽을 뜻하는 남(南)을 결합하여 ‘영남(瀛南)’이라 하였다. ‘염둔·염돈’이라고도 했다.해발 5백 m 고지에 위치한 영남동은 4·3 사건 당시 리 단위로 독립된 마을이었다. 16가호의 주민들은 옛부터 화전을 일궈 보리 ...